이제 장맛비가 그치면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휴가철만 되면 나오는 언론 보도, 바로 유기 동물 수가 급증한다는 안타까운 소식입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실제로 한 해 잃어버리거나 버려지는 동물은 몇 마리나 될까요? <br /> <br />동물보호 단체가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동물보호관리시스템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<br /> <br />지난해 기준 11만 2천여 마리가 넘는 동물들이 길거리로 내몰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유실·유기동물이 가장 많은 시기는 봄철인 5월이었고, <br /> <br />여름 휴가철인 9월까지의 유기 건수가 만 건 이상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책과 나들이, 여행 중에 목줄이 풀려 잃어버리거나, <br /> <br />집에서 열어 놓은 문틈으로 반려동물이 튀어 나가는 등 계절적 요인에 관리 소홀이 겹친 탓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휴가철 고의적 유기도 적지 않아 보이는데, <br /> <br />제주를 비롯해 울산, 강원 등 수도권과 멀리 떨어진 지역일수록 상대적으로 동물 유기 건수가 많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합니다. <br /> <br />인구대비 유실·유기동물 발생 건수를 봐도 관광지가 많은 곳에서 유기가 많이 이뤄진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이렇게 발견된 동물들의 이후 삶은 어떨까요? <br /> <br />안타깝게도 주인을 다시 찾아가거나 새로운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죽음에 이르는 동물이 절반에 가깝습니다. <br /> <br />반려동물들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는 이유는 돌봄과 치료비용 부담, <br /> <br />버렸다가 다시 형편이 나아지면 손쉽게 다시 다른 동물을 입양할 수 있는 환경이 이유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2년 전 동물보호법 개정으로 반려동물 유기 시에 3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등 처벌 기준이 강화됐지만, <br /> <br />관련 행위를 눈앞에서 목격하지 않는 이상 사후 적발이 어렵고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처벌이 약한 것도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관련 지자체들도 고민이 많지만 우선은 예방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름 휴가철 반려동물 유실과 유기를 막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거나 <br /> <br />반려견 돌봄 쉼터, 24시간 응급치료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반려인구 1,500만 시대, 공동체 속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려는 수요는 늘고 있지만 존재감과는 반대로 유기동물은 해마다 급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인을 잃은 동물이 집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하는데요 <br /> <br />반려 동물은 물건이 아니라 가족이라는 반려인의 책임 있는 인식, 제도적 장치 보완이 병행돼야할 것으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72516252675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